이놈의 드라마스페셜.

남의 기억과 추억과 마음을 헤집어 놓고 난리...


유년기 내내 나에게 아빠란 항상 보고싶은 사람, 기다리는 사람이었다.


내가 어릴적 한참 건설경기가 호황이던 시절 아빠는 포크레인을 몇 대 운영하는 사장이었고 현장마다 나가 기사들을 체크하느라 늘 지방출장이었다.

(물론 집에 잘 오지 않는 것이 꼭 그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된 건 좀 더 커서였다.)

건설업을 접은 다음에도 아빠의 직장은 지방이었고 그래서 집에는 주말에나 오셨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이후, 나는 아빠를 몇년에 한번씩 볼 수 있었고 결혼한 후에야 겨우 일년에 한번 볼까말까하게 되었다.


그래서 나에게 아빠는 평생 '보고싶은 사람'으로 남는다.

설명하기 좀 어려운 감정인데... 정말 사랑해서라거나 모든 잘못들을 이해해서가 아니라 밉고 싫은데 보고싶은 뭐 그런거.


지금도 '아빠'하면 떠오르는 내 유년시절 기억들은 아파트 베란다 난간을 잡고 밖을 내려다보며 아빠 차가 오나안오나 하염없이 기다리던 기억, 몇 밤 자면 온다는 말에 매일 몇 밤인지 세어보던 기억... 이런 것들이다.

그리고 이런 감정은 무언가의 '결핍'으로 남아서 나는 항상 마음이 모자라고 허전한채 살고있다.

매 순간 느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결핍은 결정적인 순간에 예상치 못하게 툭툭 튀어나오곤 한다.


인생에 있어 아빠의 부재.

아빠가 있지만 없는 것과 다름 없는.

이런 것은 어떤 것으로도 채워지지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우리 아이들이 그런 결핍이 없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아니, 그런 결핍을 주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물론 싫은데 꾸역꾸역 같이 살겠다는 얘기가 아니라... 크고 작게 다투더라도 잘 풀고 살면서, 어느 정도 져 주기도 (내 성격에)접기도 하면서 살아보겠단 얘기다.


보통 남들에게 친정아빠란 든든한 존재인 것 같던데(없어서 모름), 나에게 아빠란 열두살 소녀의 아빠 정도로 남아 항상 그리움의 대상일 뿐이다.

아. 그게 애들 키우면서 어려운 점은... 부모 각자의 역할이 어때야 하는지 잘 모르겠단 거다.

특히 애들이 커서 중학생쯤 되면 어떤 엄마가 되어야할지, 어떤 아빠가 되어야할지 나에겐 평가할 모델 조차 없는 거다.


여튼...

무방비 상태로 드라마에 당했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