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처럼 옮는 활동가들의 우울증.
꼭 활동가들이라 우울증이 감기처럼 옮는 것은 아니다.
누구든 감기처럼 옮기 마련인데 활동가들은 대개 삶이 비슷하고 같은 고민을 하며 장시간 한 공간에서 사니까 그런 일이 더 강한 것 같기도 하고.
몇년 전 노조에 있을 때...
공개적으로 우울증 치료를 받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남들이 보기엔 100% 우울증인데 본인만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감정이 널을 뛰고 늘 인생이 어둡고 칙칙해 보이고 실제로 가정생활도 원만치 않고 대인관계도 별로인.
그래서 같이 일하면 내가 다 짜증이 치밀고 복장이 터지는.
근데 그게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 조금씩 분명 우울증을 앓고 있다.
나 또한 옮았는지 자생했는지 모르겠으나 나의 분노를 내가 다스리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했고, 어느 순간 혼자 있을 때면 정말 그 무엇도 하고 싶지않은 무기력의 끝을 보기도 했다.
그러다가 내가 퍼뜩 정신이 들었던 계기는...
건강검진에 정신건강 관련 항목 질문에 답을 할 때 였다.
정확한 문구는 기억나지 않지만 '내 삶은 여기서 더 나아질 것이 없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등의 항목에 '예'라고 체크했을 때다.
분명 그 항목은 작년엔 "아니 뭘 이렇게까지 비관적으로 묻고 그래?" 하며 비웃었던 항목이다.
그 외에도 내가 '예'라고 대답했던 것에는 '강이나 호수를 보면 들어가보고 싶다' 따위의 질문도 있었다.
내가 그런 생각을 했다는 것을 당시에 아무도 몰랐다.
심지어 나도 깨닫지 못했으니까.
매일 얼굴보는 사람도 물론 몰랐고.
여튼 몇년을 집에서 보내면서 내가 과연 하고 싶은 일은 뭘까 많이 고민했다.
애초에 일을 그만둔 이유도 '정말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고 했던거니까.
(미술사 공부도 정말 하고 싶지만 그건 더 나이들어서 해도 되고...)
내가 찾은 것 중에 하나는 활동가들을 상대로 수시로 상담을 하는 일이다.
내가 이렇게 살다가 결국 모든걸 등지겠다는 것을 깨닫고 상담을 마음먹기까지 쉽지 않았다.
신경정신과에 대한 편견도 분명 있었고 시간과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그런데 이게 활동가들에겐 정말 필요한건데.
매일 일상이 '싸움'인 것이 얼마나 사람을 피폐하게 하고 힘들게 하는지 해보지 않으면 모르는데.
그래서 가까운 곳에서 수시로 상담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을텐데.
하지만 비용이 문제.
정말 해보려고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조금 알아봤는데...
공부하는데 경제적 비용도 엄청 들고 시간도 엄청 들고.
우리집은 내가 벌어야 하는 구조이지 더 쓸 수 있는 구조는 아니고.
애가 둘이 되었으니 시간도 한정적이고.
내가 아니더라도 그런 일을 하겠다는 사람이 꼭 있었으면 좋겠다.
그럼 내가 사무실에서 전화라도 받아줄텐데.
뭐... 가장 최고는 이런 사업을 벌일 후원자를 만나는 것인데...
(나도 공부 좀 시켜주고 ㅋㅋ)
이런 시스템이 조직적으로 갖춰지면 얼마나 좋을까.
당이나, 민주노총이나...
(그럴리가 있겠냐마는...)
하여간 노동당 부대표의 부고를 접하고 작년부터 내가 꿈꾸던 일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됐다.
어디 학비 지원해 줄 키다리 아저씨 없나...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11.16의 감정 (0) | 2014.11.17 |
---|---|
2014년 5월.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걸린 시간 한 달. (0) | 2014.05.27 |
나 요새 뭐 하나 (0) | 2014.03.01 |
아빠 (0) | 2014.01.27 |
완벽에 대한 강박 (0) | 2014.01.22 |